전기어는 인간이 전기를 발명하기 훨씬 전부터 존재해왔고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동물이었다. 인간은 로마 시대부터 전기어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었고…
넙치와 서대의 차이
넙치와 서대는 가자미목을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물고기다. 그런데 이 둘 사이의 차이는 무엇일까?

넙치와 서대는 가자미목을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물고기며 자주 혼동되는 물고기다. 둘이 친척 관계인데다가 한눈에 보면 비슷하기는 해도 넙치와 서대를 구분하는 차이점이 몇 가지 있다.
무척 비슷한 이 두 물고기의 주된 차이점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자.
서대에 관한 사실
납서대과는 흔히 서대라고 불리는 몸이 납작한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를 포함한다. 규모가 큰 과로, 현재까지 120가지 이상의 어종이 포함된다고 알려져 있다.
솔레아 솔레아(Solea solea)라는 학명의 서대는 납서대과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물고기로, 세계적으로 미식업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종이다.
해부학적으로 가자미목에 속하며 넓적하고 날씬한 몸에 어두운색을 띠는 것이 특징인데, 보통 녹색이나 밤색이다. 이런 색 덕분에 서대는 서식지 주변 환경에 맞추어 쉽게 위장할 수 있다.
야생 서대는 소금물과 기수에서 살며 어장에 사는 서대는 거의 90%의 시간을 어장 바닥에 붙어서 지낸다. 주로 갑각류를 먹지만 각종 먹이를 먹어치우는 포식자이기도 하다.
넙치에 관한 사실
대문짝넙치과에 속하는 어종 두 가지를 통틀어 넙치라고 부를 수 있는데, 터봇과 대문짝넙치 등을 포함한다.
넙치가 가장 잘 알려진 어종이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반면, 작은 넙치는 흔히 보기 어렵다.
넙치 역시 납작하고 얇고 긴 몸을 지니는데, 길이는 40에서 60cm 정도로 무게는 대략 5에서 6kg이다. 반투명한 몸빛은 모래색과 비슷하다. 푸른색이나 은색을 띠는 넙치도 있다.
야생 넙치는 태평양 북동쪽 해안가의 차가운 물에 산다. 서대와 마찬가지로 해저에 사는 물고기인데, 즉 물줄기의 끝과 아주 가까이 산다. 보통 해저 900에서 1000m의 모래층 틈에 산다.
넙치와 서대의 주된 차이점
지금까지 살펴보았듯, 넙치와 서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외모뿐만 아니라 서식지와 습성이 다르다. 맛 좋은 흰살생선이라는 점은 같으나, 사실 무척 다른 물고기들이다.
형태학/해부학적 차이
넙치와 서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생긴 모양이다. 둘 다 몸이 납작한 물고기지만 넙치는 몸이 길고 얇고 반투명한 색을 띤다. 반면 서대는 타원형에 미세하게 비대칭인 몸을 지닌다.
또 다른 큰 차이라면 바로 눈의 위치다. 서대의 눈은 몸의 오른쪽에 있으며 눈 사이 거리가 더 길고, 넙치의 눈은 색이 더 어둡고 솟아오른 뼈를 사이로 몸의 왼쪽에 있다. 눈 사이 거리가 서대보다 짧다.
둘 다 몸 안쪽은 우유처럼 밝은색을 띠지만, 몸 바깥 부분은 서대는 밤색이나 녹색을, 넙치는 모래색을 띤다.
서대의 또 다른 형태학적 특징은 바로 “U”자 모양으로 툭 튀어나온 입과 몸 양쪽에 있는 톱니 모양의 작은 비늘이다.
넙치와 서대의 서식지와 분포
서대와 넙치 모두 물 깊은 곳 바닥에 붙어살거나 가까이 살지만, 넙치가 해저 900에서 1000m로 보통 더 깊은 물에 살고 서대는 10에서 300m 깊이까지, 상대적으로 더 얕은 물에 산다.
종이 무척 다양한 덕분에 서대는 넙치보다 세계적으로 더 널리 분포한다. 그러나 수요가 너무 많아 멸종 위기에 처했을 정도이다.